본문 바로가기
  • FOR MY OWN COLOR

DAILY24

야동이 삶을 무기력하게 만드는 악순환의 과정 야동을 보면 도파민을 분비해서 일시적으로 기분이 좋아지지만 그 만큼 강력한 도파민에 항상 자극되다 보면 일상적인 소소한 부분에서는 도파민이 적게 나온다. 그래서 삶이 무기력하고 에너지를 쏟을 수가 없는 겁니다. 그러다가 자극이 필요하게 되고 또 다시 야동을 보게되는 거죠. 이런 악순환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정액은 우리 몸에 있으면 고여서 썩는 것이 아니라 신체로 재흡수되는데 한의학의 바이블인 에서는 ‘정액(精液)의 정수(精髓) 에너지는 우리 몸에 재흡수 되어 오장육부의 영양을 자양해주고 기능을 키워주는 근원적 힘으로 작용한다’ 고 합니다. 우리의 몸은 한번 사정하고 나서 그것을 재충전하려면 긴장하게 되는데 결국 사정이 빈번할수록 정액을 다시 생산하기 위해 그만큼 몸은 더 혹사를 당하게 됩니다. 생식선들은.. 2020. 5. 2.
20대인데 생각이 많아지는데 행동이 없다면 그순간이 위기입니다. 지금 무엇을 할지 고민되고 모르겠는 20대라면 앞으로 5년간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인생에 도달하기 위해 집중해야 합니다. 생각이 많아지는데 행동이 없다면 그순간이 위기입니다. 무조건 움직이세요. 현재를 살고 오늘에 집중하시면 좋은미래를 그릴수있게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OyGykhD-gLk 2020. 4. 24.
공부 정말 하기 싫을 때 쓰는 방법_feat. 정승제 선생님 "공부가 재밌으려면 공부보다 재밌는 걸 안해야 한다" 정승제 선생님 曰 어떤 걸 하는 게 어떤 걸 안하는 것보다 어렵다. 공부를 열심히 하는 건 어렵지만, 공부에 방해되는 걸 안하는 게 더 쉽다. 공부에 슬럼프에 빠지면 공부에 방해되는 걸 하지 말아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1IxkKnS5QTA&list=WL&index=53&t=0s 2020. 4. 23.
나는 몇 시에 잠들어야 다음 날 피곤하지 않을까 잠을 자고 일어나도 아침에 일어나기 힘든 법이다. 하지만 아침에 피곤하지 않고 쌩쌩하게 일어나는 날도 있다. 둘의 차이는 잠의 사이클을 원만하게 잘 돌았냐이다. 수면에 들어 램수면을 겪고 얕은 수면의 단계에서 아침에 깨면 개운하게 일어날 수 있다. 하지만 깊은 수면 상태에서 알람을 듣고 억지로 일어나려고 하면 고된 법이다. 이에 자신이 몇 시에 기상하려고 하면 몇 시에 자야하는지 알려주는 사이트가 있어서 가져와봤다. https://sleepyti.me sleepyti.me bedtime calculator For feedback, questions, or concerns, please feel free to e-mail us. If you know when you'll fall asleep, but no.. 2020. 4. 14.
애매하게 열심히 살아서 초조하고 불안한가보다 나는 크게 되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그렇게 되기 위해 무엇을 해야할 지 몰라서 하기 싫은 대학공부를 해야 하는건가.. 생각하다가도 하기 싫으니 하지말자며 공부를 놓았고 학점은 학고를 면했다. 하지만 공부를 놓은 와중에 나의 적성을 찾아 노력한 것도 아니다 ​ ​ ​ 애매하게 산다는 말은 정말 공감된다.. 초조해하고 불안해해서 마음대로 살지도 못하고 그렇다고 치열하게하는것도 아닌 어중간하게 열심히 하는거. 지금까지 그래왔고 지금도 그런 것 같아서 마음이 무겁다. 인생 막 살겠다고 다짐했지만 겁이 많아서 완전 막 살지는 못하고 뭔가 어중한하게막 살아서 망하는 거 같다 2020. 4. 9.
2030 인생 꼬이는 과정_팩폭주의 보자마자 '내 얘기인가' 싶었다. 딱히 욜로를 외치거나 즐기며 살 지는 않았지만 아무 것도 안하면서 하는 것도 없이 나이만 먹으면서 우울하고 불안해하는 게 리얼 딱 민간인 사찰 저리가라다.. ​ ​ 지금부터라도 영어도 붙잡고 인생을 설계해서 나의 길을 진득이 걸을 수 있는 사람이 되겠다. + 복학왕 이번주 이야기가 딱 지금의 대학생을 묘사해놓은 내용이다.. 너무 나의 이야기같고 앞으로 저렇게 될까봐 무서울 정도다..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626907&no=296&weekday=wed 복학왕 - 294화 4년제 나온 애들 1화 294화 4년제 나온 애들 1화 comic.naver.com 2020. 4. 2.
클래스101_내가 원하는 비전과 딱 맞는 플랫폼 회사 feat. 드림컴퍼니 2016년 이후로 읽은 책 중에 기억에 남는 책이 5권 정도 있는데 그중 하나를 꼽으라면 단연 제레미 리프킨의 책을 꼽겠다. 는 읽어보고 정말 충격을 많이 받았던 책이다. 세상이 발전해서 기술이 발전해 나감에 따라 물건을 하나씩 더 많이 만들 때마다 투입되는 비용이 점점 줄어들어 결국 물건을 만드는 비용이 제로에 수렴한다는, 한계비용이 제로가 되는 사회가 된다는 것이다. 한계비용이 제로라는 뜻은 물건값이 '제로', 즉 0원이 된다는 뜻이다. 미래에 물건의 가격이 0원이라면 물건을 사는 사람은 없어진다. 그렇다면 어떤 모습이 펼쳐질까? 미래사회의 모습은 물건 구매가 아닌 공유, '공유 사회'가펼쳐지는 것이다. 새로운 물건의 구매 대신 서로의 물건을 공유하는 개념이다. 실제 가능성이 개념과 100% 일치할 .. 2020. 3. 29.
공부하다가 폰을 만지게 돼서 집중이 끊어지는 게 문제라면 아무 노력없는 얻는 보상체계를 버리고 열심히 노력해서 얻는 보상체계를 구축하자 요새 공부를 하면서 스톱워치를 사용한다. 오늘 얼마나 공부했는지 공부시간을 재기 위함이지만 카운트다운으로 시간을 50분 또는 1시간씩 정해둬서 학교 시간표처럼 집중을 하기 위함이었다. 하지만 문제는 1시간 집중하는 동안 한번씩 핸드폰을 들여다보거나 1시간 집중을 하고 난 후 쉬는 시간을 정하지 않았더니 계속 놀고 쉬게 되었다는 점이다. 그렇게 문제를 안고 쉬면서 유튜브를 보던 중 '뇌를 망치는 습관'이라는 제목의 영상을 찾았는데 너무 도움이 되어서 가져왔다. 공부를 하던 도중 핸드폰을 보게 되어 집중이 끊기면 아무런 노력없이 쾌감을 얻게 되어서 '열심히 노력해야 성과가 따른다'는 보상체계가 무너지게 되어 결국 공부습관을 망치게.. 2020. 3. 20.
한국인의 낮은 자존감_사회적 시계 이전에 수능을 준비하던 수험생 시절, 자세히 기억은 안나지만 EBS 영어지문 중에 'Social Clock'에 관한 지문을 읽은 기억이 난다. 각자 자신만의 시계가 있지만 사회가 요구하는 Social Clock, 즉 사회적 시계에 발 맞추어 나가고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20살에는 대학에 입학하고 20대 후반에는 대학교 졸업하여 번듯한 직장에 다니고 30대에 인연을 만나 결혼을 하는 식의.. 사회적 시계이다. 한국의 자기착취적 경쟁체제에 대해 쉽게 설명해준 영상의 스크린샷이 있어서 가져와봤다. 2020. 3. 10.